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3)
[모던 JS] 심벌(Symbol) ECMAScript6부터 새롭게 정의된 개념이다. 심벌(Symbol) 말 그대로 상징한다는 의미로, 자기 자신을 제외한 그 어떤 값과도 다른 유일무이한 값이다. (데이터 타입 - 원시 자료형 중 하나이다.) 언제 쓰일까? 바둑을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가정해보자. var NONE = 0;//칸에 돌이 놓여 있지 않은 상태 var WHITE = 1;//칸에 흰색 돌이 놓여 있는 상태 var BLACK = 2; //칸에 검은 돌이 놓여 있는 상태 이 코드에서 칸 하나의 상태를 cell이라는 변수에 저장한다고 가정했을 때, cell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cell == NONE(칸에 돌이 없다면) cell == WHITE(칸에 흰색돌이 있다면) cell == BLACK(칸에 검은돌이 있다면)이렇게 작성해야 코..
[프로그래머스 level1] 삼총사 해설 리스트 요소의 3개를 더했을 때 0이 되면, 삼총사라고 하며 삼총사가 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그러면 코드를 한글로 쓰자면, 1. number의 요소중 조합으로 3개를 뽑아서 2. 3개를 더했을 때 0이 나오면 3. count값을 증가시키고 4. return 으로 count값을 출력하면 된다. 1번에서 순수하게 코드를 짜는 방법을 그리다가.. 분명히 파이썬에 조합을 구하는 모듈이 있을거라고 확신하고 구글에 검색했더니 역시나 나왔다. import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itertools이라는 라이브러리를 import해서 combinations을 사용한다. list_a = list(combinations(number, 3)) 3개의 요소를 뽑는데, 순서 ..
[Node.js] 파일 읽어 node로 실행하기 - Mac 데스크탑에 javascript 파일을 만든다. javascript 파일 안에 js_study 파일을 만든다. js_study 파일 안에 factorial.js 파일을 만든다. 해당 코드를 입력한다. function fact(n){ if(n
Node.js - Mac Node.js는 주로 서버 측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으로 사용된다. Node.js 위에서 동작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면 다양한 웹 서버를 구축할 수 있고 일반 PC에도 설치할 수 있다. Node.js 실행시키기 1. 터미널을 연다. 2. node를 입력한다. -> node를 입력하면 대화형 모드(REPL)가 켜진다. 그러면 명령을 기다린다는 의미로 프롬프트 >가 표시된다.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 가능. ex) .editor - 편집기 모드(종료 control + D) .exit - 대화형 모드 종료
[프로그래머스 level1] 달리기 경주 (실패 - 시간초과) 해설 예시 입력에 보면 ['mumu', 'soe', 'poe', 'kai', 'mine']이렇게 players를 이루고 있고 불린 애들의 리스트는 callings ['kai', 'kai', 'mine', 'mine']이렇게 되어있다. 그러면 문제에 따라서 보면 1번째로 'kai'가 불렸으니 players는 ['mumu', 'soe', 'kai', 'poe', 'mine'] 이렇게 바뀔거고 2번째로 'kai'가 불렸으니 players는 ['mumu', 'kai', 'soe', 'poe', 'mine'] 이렇게 바뀔거고 3번째로 'mine'가 불렸으니 players는 ['mumu', 'kai', 'soe', 'mine', 'poe'] 이렇게 바뀔거고 4번째로 'mine'가 불렸으니 players는 ['mum..
[백준 9295번] 주사위 - 파이썬 풀이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받고 테스트 케이스만큼 a,b를 입력받고 print를 찍는다. 코드 T = int(input()) for i in range(1, T+1): a, b = map(int, input().strip().split()) print("Case {}: {}".format(i, a+b))
[백준 10178번] 할로윈의 사탕 - 파이썬 해설 몫과 나머지로 출력하는 문제이다. 풀이 n = int(input()) for i in range(n): c, v = map(int, input().strip().split()) print('You get {} piece(s) and your dad gets {} piece(s).'.format(c//v, c % v)) format함수를 이용해서 넣었음
[백준 5522번] 카드 게임 - 파이썬 해설 input으로 총 5개의 숫자를 받고, 다 더해서 result를 내면 된다. 결과 result = 0 for i in range(5): a = int(input()) result += a print(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