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 공부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획자가 자주하는 실수 - 한가지 케이스로만 만들지 않았나? 미준맵을 정리하면서 데이터와 기능에 신경 써야 한다고 이야기했었다. 모든 온라인 서비스는 결국 입력된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고 출력하느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비스의 모든 기능은 어떤 데이터가 들어와도 동일한 기준으로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이 '템플릿'이다. 템플릿이란 어떤 모양을 만들어내기 위해 찍어내는 틀을 의미하는데, 온라인에서 틀이란 말하자면 함수(function)와 같다. 우리가 만들어내려는 서비스는 UI구성이 아닐, 어떤 데이터가 들어오더라도 동일한 기준으로 화면과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서비스 기획에서 중요한 것은 들어올 가능성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케이스별로 적절한 처리 방식을 예상해주는 것이며 예상하지 못한 데이터가 들어오더라.. 기획자 채용에 신입이 없는 이유 하루하루 기획 공부를 하다 보니 느낀 점은 PM, PO는 프로덕트를 개선하는 일을 제일 많이 하는 직무인데, 그런 개선 경험들은 사실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많이 느낀 것 같다. 결국 PM, PO들의 핵심 목표는 돈을 벌기 위한 전략들을 세워나가는 일을 하는 것이다. 기업에 돈을 벌어들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겠지만(광고, 마케팅, 운영...) 많은 방법들 중 IT 플랫폼을 개선해 고객의 유입을 끌어들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직무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정말 그냥 다 하는 직무로 유명한 이유가 그 때문인 것 같다. 따라서 내가 기획자로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신입인데, 경력에 취업을 하고 싶다면 비즈니스 모델을 생각하고, 가설과 검증 과정을 거쳐 유의미한 성과를 수치적으로 .. [UX] 솔루션 vs 아이디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게 아니라면 UX를 한다고 말할 수 없다.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내라 UX디자이너는 다른 분야 디자이너와 달리 자신에게 의미 있는 아이디어에 몰두해서는 안된다. 이는 자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문제를 살피는 데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한다는 뜻이다. 모든 사람에게 통하는 건 아니다. UX란, 특별한 유형의 디자인이다. 틀릴 수도 있고 그것이 틀렸다는 걸 증명할 수도 있다. 게다가 어떤 웹 사이트에서는 통했던 솔루션이 다른 웹 사이트에서는 통하지 않을 수 있다. [UX] 사용자 관점의 3가지 'What' 좋은 디자인은 늘 다음 3가지를 전달한다. 1. 이게 무엇일까? 2. 사용자에게 어떤 이득일까? 3. 사용자는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해야 할까? 이게 뭐지? '이게 뭐지?'라는 질문에 답하는 손쉬운 방법은 그에 관한 표제나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웹 사이트는 무엇에 관한 거지?, 신문 기사인가? 웹사이트의 목적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니 분명하면서도 단순한 언어를 사용해 말해줘야 한다. 나와 관련된 내용이 뭐지? 사용자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사용자에게 그들이 무엇을 얻게 될 것인지 구구절절 설명하는 것보다는 직접 보여주는 편이 좋다 비디오나 데모, 이미지, 무료 체험판, 샘플 콘텐츠, 추천평 같은 것들 말이다. 사실 '이게 뭐지?'라는 질문에 답할 때 사용자가 어떤 이득을 얻을 수.. [UX] 자신보다 덜 아는 사람을 위해 디자인해라 자신보다 덜 아는 사람을 위해 디자인해라 자신보다 조금 덜 아는 사람들을 위해 디자인하는 것이 UX의 핵심이다. 사용자들이 알지 못한다는 건 사실 그들은 관심이 없다는 뜻이다. 질문 텍스트를 사람들이 읽지 않더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는가? 사용자가 두세 번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디자인했는가? [IA 디자인]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가치를 전달시키는 효과적인 콘셉트 전략 6가지 처음 서비스를 기획할 때, 서비스가 전하는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콘셉트를 정해야한다. 전체적인 방향성, 일관된 정체성, 경쟁 서비스와 차별되는 우리 서비스만의 색깔 등을 고려한다. 여러 가지 가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여러 가치 콘셉트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콘셉트를 정의하는 작업이 전략이다. 콘셉트를 고려할 때 고려할 6가지 요소가 있다. 1. 서비스 : 해당 서비스만의 고유한 정보, 기능, 기술적인 차별성, 경쟁사와는 다른 운영 정책 등 경쟁사와 차별성에 초점을 둔다. 2. IA : 사용자가 정보를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고유한 탐색 경험을 고려해야 한다. 3. 이용 흐름 : 서비스의 주 활동 및 보조 활동 과정에서의 일관성 있는 흐름을 고려한다. 4. UI : 사용자가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는 먼저 나왔다고 해서 승자가 되지 않는다. 온라인 서비스는 먼저 나왔다고 해서 승자가 되진 않는다. 고객은 얼마든지 좀 더 개선된 서비스로 이동해버린다. 따라서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온라인 서비스의 생리를 알고 기존 서비스에서도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창업 액셀러레이션 아이디어를 준비할 때, 나의 가장 큰 실수라면 이 부분이었던 것 같다. 나는 창업이라고 해서 거창한 것들을 생각했던 것 같다. 세상의 없는 것들을 찾으려 무리한 아이디어를 도출해낸 것이 문제였다. 하지만, '역행자' 와 '서비스 기획 스쿨'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느꼈다.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할 때는 없는 것들을 만들어 내기 보단 있는 아이템에서 차별성을 가지는 아이템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현실적이어야 한다. 우리 팀의 역량, 비용등을 고려한 최선의 아이디어.. [IA와 유저플로우] 좋은 IA 설계 실제 사용자들의 의도와 흐름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의도마다 어떻게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흐름을 조사한다. 데이터나 설문조사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도 사용자 의도와 흐름을 알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다. 이전 1 2 다음